안산/시흥/화성 변호사 김기범입니다.
특허발명 실시계약의 목적이 된 특허발명이 후발적으로 무효가 되면 실시계약에 근거하여 (통상실시권자로서) 실시료를 지급받은 자는 실시자에게 그 실시료를 돌려주어야 할까요?
언뜻 보면 발명이 무효라면 무효에는 소급효가 있으므로 실시료도 부당이득으로 돌려주어야 할 것처럼 보입니다.
그런데 이에 관하여 선고된 판례를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. 아래 판례를 참조 바랍니다.
[대법원 2014. 11. 13. 선고 2012다42666 판결]
1. 특허발명 실시계약이 체결된 이후에 그 계약 대상인 특허가 무효로 확정되면 특허권은 특허법 제133조 제3항의 규정에 따라 같은 조 제1항 제4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간주된다. 그러나 특허발명 실시계약에 의하여 특허권자는 실시권자의 특허발명 실시에 대하여 특허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이나 그 금지 등을 청구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특허가 무효로 확정되기 이전에 존재하는 특허권의 독점적·배타적 효력에 의하여 제3자의 특허발명 실시가 금지되는 점에 비추어 보면, 특허발명 실시계약의 목적이 된 특허발명의 실시가 불가능한 경우가 아닌 한 특허무효의 소급효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특허를 대상으로 하여 체결된 특허발명 실시계약이 그 계약의 체결 당시부터 원시적으로 이행불능 상태에 있었다고 볼 수는 없고, 다만 특허무효가 확정되면 그때부터 특허발명 실시계약은 이행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고 보아야 한다. 따라서 특허발명 실시계약 체결 이후에 특허가 무효로 확정되었더라도 앞서 본 바와 같이 특허발명 실시계약이 원시적으로 이행불능 상태에 있었다거나 그 밖에 특허발명 실시계약 자체에 별도의 무효사유가 없는 한 특허권자가 특허발명 실시계약에 따라 실시권자로부터 이미 지급받은 특허실시료 중 특허발명 실시계약이 유효하게 존재하는 기간에 상응하는 부분을 실시권자에게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다.
'특허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표분쟁 발생단계별 대응방안이 궁금합니다. -1- (0) | 2018.05.25 |
---|---|
상표분쟁 발생단계별 대응방안 -경고장- (0) | 2018.05.25 |
KAIST가 삼성전자와 퀄컴, 글로벌파운드리에게 핀펫 반도체기술에 관하여 텍사스법원에 특허소송제기 (0) | 2018.05.25 |
특허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을 현실화해야 합니다. (0) | 2018.05.25 |
출원상표 "올레드"가 OLED(유기발광다이오드)의 한글음역으로서 지정상품의 원자료, 품질 등을 표시한 상표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(특허법원 2016허8292) (0) | 2018.05.25 |